Bard Access Equistream Mode D'emploi page 47

Table des Matières

Publicité

Les langues disponibles
  • FR

Les langues disponibles

  • FRANÇAIS, page 4
• 특히 왼쪽 배치는 무명정맥에 의해 SVC와의 왼쪽 완두 접합부에서 형성된 오른쪽
각도로 인해 독특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천공을 비롯한 혈관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삽입 중 확장기 유도관 조립부를
혈관에 강제로 집어넣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소침은 배치 시 도움이 되도록 가이드와이어 위에서 사용합니다. 가이드와이어의
경로와 관계 없이 정맥절개부에 소침을 삽입하면 천공과 같은 혈관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터널러를 카테터 팁에 삽입할 때 소침을 수축시키지 못하면 소침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삽입된 소침을 제거하는 동안 카테터가 정맥 밖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합니다.
• 꼬이게 되면 카테터 교착 상태를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분할 보호관을 혈액
속으로 너무 깊게 밀어넣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유도관이 외부로만 찢겨지도록 합니다. 보호관이 찢어지면서 카테터가 혈관으로
더 들어가야 할 수 있습니다.
• 최적의 제품 성능을 위해 커프의 어떠한 부분도 정맥으로 삽입하지 마십시오.
• 바늘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초소형 유도관 가이드와이어를 빼내야 할 경우
바늘과 와이어를 단일체로 제거하면 가이드와이어가 손상되거나 엇밀리는 경우에
바늘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Equistream* 카테터를 삽입하기 전에 아래 수록된 합병증 및 발생시의 응급
처치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아래 수록된 합병증 및 기타 합병증은 의학 문헌에 문서화되어 있으며 카테터를
배치하기 전에 이 합병증에 대해 주의 깊게 고려해야 합니다. Equistream*
카테터의 배치 및 관리는 관련 위험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시술 유자격자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합병증
유치 중심 정맥 카테터 사용은 중증 환자를 위한 정맥 접근의 중요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나 다음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에 대한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공기 색전증
• 동맥 천공
• 출혈
• 팔신경얼기 손상
• 심장부정맥
• 심장눌림증
• 피부를 통한 카테터 또는 커프 부식
• 카테터 색전증
• 카테터 폐색
• 쇄골과 첫 번째 갈비뼈 사이의
가압으로 인한 카테터 폐색, 손상
또는 파손
1
• 카 테터 관련 패혈증
• 심내막염
• 도관 출구 감염
• 도관 출구 괴사
• 혈관밖유출
• 섬유초 형성
삽입 기법
(1) Bard Access Systems, Inc.
있는
카테터의 경피 배치 시술
Equistream*
경피 설치의 경우, 카테터는 분할 유도관을 통해 빗장밑정맥이나 속목정맥에
삽입합니다. 경피 삽입에는 오른쪽의 속목정맥 설치가 선호되는 첫 위치라는
것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6,9
환자를 진입 부위의 반대편 방향으로 머리를 둔
틀렌델렌부르크 체위로 두어야 합니다.
A (공통 단계)
카테터는 엄격한 무균 조건 하에서만 삽입해야 합니다
경고
: 왼쪽 속목정맥의 관삽입이 오른쪽 속목정맥에 카테터를 배치하는 것에
비해 합병증 발생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의
: 문헌에서 보고한 대로 카테터의 왼쪽 배치는 무명정맥에 의해 SVC와의
왼쪽 완두 접합부에서 형성된 오른쪽 각도로 인해 독특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5,8
1.
시술 내내 멸균 영역을 제공합니다. 수술자는 캡, 마스크, 멸균 가운, 멸균 장갑을
착용해야 하며 대형 멸균 드레이프를 사용하여 환자를 덮어야 합니다.
2.
표준 외과 기법을 사용해 접근 부위를 준비하고 멸균 타월로 준비된 부위를
도포합니다. 모발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 이발 기구 또는 제모제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나서 포비돈-요오드 용액의 사용이 금지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로 전체 영역을 문지릅니다. 최소 30초간 앞뒤로
문지릅니다
10
. 닦아내지 마십시오. 부위에 구멍을 내기 전에 소독액이 완전히
자연 건조되게 합니다.
3. (해당될 경우) 삽입 부위 및 경피 터널용 경로에 대해 국소 마취제를 투여합니다.
4.
삽입 전 헤파린 용액으로 각 내강을 세척한 다음 연장 레그를 클램핑합니다.
소침을 사용하는 경우동맥 삽입 소침과 가이드와이어를 제거할 때까지
동맥(빨간색) 내강을 클램핑하지 마십시오. 클램핑은 소침을 꼬이게 하고
가이드와이어 통과를 막습니다.
5.
부착된 주사기로 원하는 위치에 유도관 바늘을 삽입합니다. 삽입하는 동안
부드럽게 흡인합니다.
6. 정맥으로 들어가면 바늘을 제자리에 놓은 채 주사기를 제거합니다.
7. 미세 천자 세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초소형 유도관 가이드와이어의 부드러운
끝을 바늘에 삽입합니다. 초소형 유도관 가이드와이어를 가능한 한 멀리까지
삽입합니다. 투시 검사나 초음파를 사용해 정확한 위치를 확인합니다.
• 가이드와이어를 제자리에 고정하고 있는 동안 바늘을 부드럽게 빼내
제거합니다.
주의
: 바늘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초소형 유도관 가이드와이어를
빼내야 할 경우 바늘과 와이어를 단일체로 제거하면 가이드와이어가
손상되거나 엇밀리는 경우에 바늘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약간의 회전 동작을 이용해 초소형 가이드와이어 위로 작은 보호관과
확장기를 단일체로 함께 삽입합니다. 장치를 정맥에 가능한 한 깊이
삽입합니다.
• 작은 보호관을 제자리에 두고 확장기와 초소형 가이드와이어를 빼냅니다.
경고
: 보호관의 구멍 위에 엄지손가락을 대 혈액 손실 및 공기 색전증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8.
표준 가이드와이어는 바늘 허브에 삽입하고 바늘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표준
가이드와이어를 혈관 내에서 원하는 위치까지 밀어넣습니다.
9. 초소형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제자리에 고정하고 있는 동안 작은
보호관을 부드럽게 빼내 제거합니다.
10. 가이드와이어를 제자리에 둔 상태에서 바늘을 제거합니다. 가이드와이어를
깨끗이 닦아내고 제자리에 고정합니다.
주의
: 표준 가이드와이어의 끝을 잘라낼 수 있으므로 바늘끝경사면 위로
가이드와이어를 당기지 마십시오. 삽입기 바늘을 먼저 제거해야 합니다.
11. 삽입 부위에 작은 절개를 냅니다. 카테터의 원하는 배출 부위에 두 번째 절개를
냅니다.
12. B(공통 단계).
B (공통 단계)
1.
소침을 사용하는 경우 동맥 루어-잠금 커넥터에서 소침
허브를 분리하고 동맥 내강 팁에서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소침을 수축시킵니다.
주의
: 터널러를 카테터 팁에 삽입할 때 소침을
수축시키지 못하면 소침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2.
터널러로 카테터 배출 부위에서 경피 터널을 만들어
정맥 진입 부위에서 나옵니다. Bard Access Systems,
Inc. 터널러(1~3단계 참조)를 사용하는 경우 카테터를
터널러에 부착해 카테터의 정맥 팁이 가시 돋친 연결부
위로 미끄러져 보호관 정지부 인근에 놓일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카테터는 터널이 만들어지면서
조직을 통해 꿰어질 수 있습니다. 멈출 때까지 터널러에
있는 보호관을 정맥 팁/터널러 연결부 위로 밉니다.
또한 보호관의 개방된 끝부분이 동맥 팁을 덮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는 피부 터널의 동맥 팁의 드래그를
줄여주며 카테터가 터널러에 고정되게 합니다. (커프를
위치시킨 후 터널러는 카테터에서 보호관을 밀어내고
정맥 팁에서 터널러를 당겨 제거할 수 있습니다.) 터널을 통해 카테터를
무리하게 움직여서는 안 됩니다.
5,8
• 혈종
• 혈종격
• 혈흉
• 수흉증
• 이식 영역 위의 염증, 괴사 또는
피부 흉터 형성
• 이식 장치에 대한 못견딤 반응
• 혈관 또는 내장 열상
• 혈관 또는 내장 천공
• 기 흉
• 가슴림프관 손상
• 혈전색전증
• 정맥 협착증
• 정맥 혈전증
• 심실 혈전증
• 혈관 진무름
• 국부 또는 전신 마취, 수술 및 수술
후 회복과 관련된 위험
분할 유도관을 사용한 커프가
.
7
3. 흰색 유지 커프를 피부 배출 부위와 정맥 진입 부위 사이의 중간 정도, 정맥
진입 부위에서 최소 3cm 떨어진 곳에 위치시킵니다. 터널러를 카테터에서
탈착합니다.
4.
소침을 사용하는 경우 소침을 다시 카테터에 넣고 동맥 카테터 루어-잠금
커넥터의 소침 허브를 조입니다. 소침 팁을 정맥 끝 구멍의 근위 측에
통과시키고 소침 침이 카테터 칩에서 돌출되게 합니다.
C (삽입 기법 (1): 경피 배치)
1.
소침을 고정 해제, 제거 및 폐기합니다.
주의
: 소침은 배치 시 도움이 되도록 가이드와이어 위에서 사용합니다.
가이드와이어의 경로와 관계 없이 정맥절개부에 소침을 삽입하면 천공과
같은 혈관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헤파린 식염수 용액으로 카테터 내강을 채웁니다.
3. 확장 유도관 조립부를 노출된 가이드와이어 위를 통해 혈액 속으로 밀어넣습니다.
주의
: 천공을 비롯한 혈관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삽입 중 확장기 유도관
조립부를 혈관에 강제로 집어넣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문헌에서 보고한
대로 카테터의 왼쪽 배치는 무명정맥에 의해 SVC와의 왼쪽 완두 접합부에서
형성된 오른쪽 각도로 인해 독특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경고
: 가이드와이어가 우심방 벽에 닿을 경우 심장 부정맥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유도관을 제자리에 두고 혈관 확장기와 가이드와이어를 빼냅니다.
주의
: 꼬이게 되면 카테터 교착 상태를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분할 보호관을
혈액 속으로 너무 깊게 밀어넣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경고
: 공기 색전증 및/또는 혈액 손실을 막기 위해 유도관의 노출된 구멍 위에
엄지손가락을 댑니다.
5.
엄지손가락을 떼고 카테터의 원위 부위를 유도관에 넣습니다. 카테터 팁을
밀어넣습니다. 카테터 팁 배치, 팁 방향 및 올바른 길이 선정은 의사의 재량에
맡깁니다. 하지만 정기적인 X-선 검사 시 항상 초기 삽입 내용을 따라 사용하기
전에 카테터 팁이 올바르게 배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권장되는 팁
위치는 상대정맥/우심방(SVC/RA)의 접점이나 우심방 중앙입니다.
배치는 형광 투시법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6. 카테터를 삽입한 상태에서 "T" 핸들을 잡고 이를 아래와 바깥쪽으로 움직여
깨서 보호관을 벗겨내 보호관의 분리 및 회수를 시작합니다.
주의
: 유도관이 외부로만 찢겨지도록 합니다. 보호관이 찢어지면서 카테터가
혈관으로 더 들어가야 할 수 있습니다.
주의
: 최적의 제품 성능을 위해 커프의 어떠한 부분도 정맥으로 삽입하지
마십시오.
7. D(공통 단계).
D (공통 단계)
1.
클램프를 풀고 각 내강을 통해 혈액을 흡인하여 카테터 열림을 확인합니다.
2.
10mL 이상의 주사기와 10mL 멸균 식염수로 각 내강을 세척합니다.
경고
: 혈관 및 내장 손상을 방지하려면 주입 압력이 25psi(172kPa)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작은 주사기는 큰 주사기보다 더 많은 압력을 생성하기
때문에 10mL 이상의 주사기 사용을 권장합니다.
3. 카테터 클램프에 표시된 준비 용량과 동일한 양으로 각 내강에 헤파린 용액을
주입합니다. 즉시 각 내강을 클램핑해야 합니다.
경고
: 사용하지 않을 시 연장부를 클램핑하지 못하면 공기 색전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추가 안전을 위해 진입 부위 전체를 봉합하거나 Statlock*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여 카테터를 고정합니다.
5.
드레싱 교체 및 배출 부위 관리는 병원 프로토콜을 따릅니다. 카테터를
드레싱하기 전에 알코올 함유 용액(Chloraprep* 용액 등)이 완전히 자연
건조되게 합니다.
경고
: 아세톤 및 PEG 함유 연고는 이 장치의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폴리우레탄 카테터와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클로로헥시딘 패치 또는
바시트라신 징크 연고(Polysporin* 연고 등)가 선호하는 대안입니다.
6. X-선이나 형광 투시로 카테터와 팁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권장 드레싱 기법
1.
한 두개의 멸균 테이프 스트립을 사용해 피부에 카테터를
고정합니다.
옵션: 사전에 자른 거즈 드레싱을 배출 부위에 놓고 카테터
주변에 부드럽게 맞춥니다. 사전에 자른 거즈와 카테터 위로
2인치 x 2인치(5cm x 5cm)의 거즈를 배치합니다.
2.
덮개 드레싱을 도포하고 연장 레그가 노출되게 합니다. 멸균
투명 반투과성 드레싱을 사용할 경우 다음을 권장합니다.
2a. 멸균 가위를 사용해 드레싱의 짧은 쪽에 1-2인치(3-5cm)의
틈을 냅니다. 뒷면 시트를 제거합니다.
2b. 틈이 카테터 허브 위에 있도록 피부의 드레싱을 통해 카테터
부위를 봅니다. 드레싱의 한쪽을 그대로 누르면서 다른 쪽이
피부에서 떼어지도록 합니다.
2c. 이미 피부에 고정된 카테터 허브 근처 드레싱의 프레임 부위를
부분적으로 제거합니다.
2d. 드레싱의 고정되지 않은 쪽이 고정된 쪽 위로 약간 겹치게 해
카테터 허브 아래에서 드레싱을 밀봉합니다. 모서리를 완전히
가라앉히면서 드레싱에서 프레임을 조심스럽게 제거합니다.
전체 드레싱을 가라앉힙니다.
경고
:
아세톤 및 PEG 함유 연고는 이 장치의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폴리우레탄 카테터와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클로로헥시딘 패치 또는 바시트라신 징크
연고(Polysporin* 연고 등)가 선호하는 대안입니다.
삽입 기법
외과 절개 시술
(2)
카테터는 빗장밑정맥, 바깥목정맥 또는 속목정맥을 통해 위대정맥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표준 수술실 시술). 외과 절개 시술을 위해 환자를 진입 부위의 반대편
방향으로 머리를 둔 틀렌델렌부르크 체위로 두어야 합니다.
1. A(공통 단계)로 갑니다.
2. B(공통 단계)를 건너뜁니다.
3. C(삽입 기법 (1) 경피 배치)를 건너뜁니다.
4.
작게 절개를 내 카테터의 삽입을 위해 원하는 혈관을 찾습니다.
참고
: 목 삽입 시 바깥 정맥이 카테터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아닐 경우
속정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끈 봉합을 사용해 속정맥에 카테터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5.
유두와 흉골연 사이의 영역 내 카테터의 원하는 배출 부위에 작은 절개를
냅니다. 이식용 커프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절개를 냅니다.
6. B(공통 단계)로 갑니다.
7. 소침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가이드와이어의 근위 끝을 가장 먼쪽 팁의 작은
정맥 끝 구멍에 삽입하고 동맥 팁의 끝 구멍에 통과시키며 동맥 루어-잠금
커넥터(빨간색)에 닿을 때까지 동맥 내강을 통과시켜야 합니다. 소침을 사용하는
경우 소침 루어-잠금 커넥터에 닿을 때까지 가이드와이어의 근위 끝을 소침의
1단계
원위 팁을 통과시켜야 합니다.
8.
선택한 정맥의 작은 정맥절개를 통해 카테터를 삽입합니다. 카테터 팁을
밀어넣습니다. 카테터 팁 배치, 팁 방향 및 올바른 길이 선정은 의사의 재량에
맡깁니다. 하지만 정기적인 X-선 검사 시 항상 초기 삽입 내용을 따라 사용하기
전에 카테터 팁이 올바르게 배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권장되는 팁
위치는 상대정맥/우심방(SVC/RA)의 접점이나 우심방 중앙입니다.
2단계
배치는 형광 투시법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주의
: 최적의 제품 성능을 위해 커프의 어떠한 부분도 정맥으로 삽입하지 마십시오.
경고
: 가이드와이어 및/또는 소침이 우심방 벽에 닿을 경우 심장 부정맥이 생길
수 있습니다.
9. 카테터에 정방향 압력을 가하면서 가이드와이어와 소침을 빼냅니다.이렇게
하면 카테터가 빠지지 않습니다.
3단계
주의
: 삽입된 소침을 제거하는 동안 카테터가 정맥 밖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합니다.
10. D(공통 단계)로 갑니다.
47
:
5,8
모든 팁
6
6
모든 팁

Publicité

Table des Matières
loading

Ce manuel est également adapté pour:

Equistream xk

Table des Matières